(특허등록) 박찬일, 손채봉, “AI방식을 이용한 적대적 이미지 생성장치 및 그 방법”, 제 10-2253402 호, 2021년 05월 12일
본 발명은 AI방식을 이용한 적대적 이미지 생성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대적 이미지로 변형하고자 하는 원본 이미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원본 이미지로부터 객체 인식을 수행한 다음, CAM(Class Activation Map)을 이용하여 인식된 객체로부터 특징을 추출하는 특징추출부, 그리고 상기 추출된 특징을 변형시키고, 변형된 특징을 이용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생성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AI방식을 이용한 적대적 이미지 생성장치는 원본 이미지로부터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을 파괴시킨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므로, 원본 이미지의 왜곡을 최소화하므로 육안상의 차이가 미비하여 인간은 해당 이미지를 인지할 수 있으나 딥러닝 방식의 봇은 해당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인지하지 못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특허등록) 김대열, 고은수, 오수영, 손채봉, “4D 영화 이펙트 자동 생성장치”, 제 10-2217414 호. 2021년 02월 15일
본 발명은 딥러닝 기반의 4D 영화 이펙트 자동 생성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엠피이지 프로그램 스트림(MPEG Program Stream)에 포함된 비디오 정보와 오디오 정보를 분류하고, 분류된 오디오 정보 및 비디오 정보를 각각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비디오 정보에 포함된 현재 프레임을 기 구축된 딥러닝 모델에 입력하여 주요 객체를 추출하고, 추출한 객체의 움직임을 추정하여 스케일링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케일링 이미지를 통해 모션 의차 효과를 도출하는 움직임 추정부, 상기 입력된 오디오 정보에 윈도잉 기술을 적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데이터를 생성한 다음, 생성된 데이터를 VGG기반의 네트워크에 입력하여 파형을 분류하는 오디오 분류부, 상기 움직임 추정 모듈을 통해 생성된 플로우 맵과 오디오 분류 모듈을 통해 분류된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각각 모션 효과와 추가 효과를 획득할 수 있는 4D 영화 이펙트 자동 생성 모델을 생성하는 모델생성부, 그리고 4D 영화 이펙트 자동 생성 모델을 이용하여 4D 영화 이펙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효과 추출부를 포함한다.
(특허등록) 김대열, 손채봉, “딥러닝을 이용한 맞춤형 광고 제작 장치”, 제 10-2217414 호, 2021년 2월 15일
본 발명은 딥러닝을 이용한 맞춤형 광고 제작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제작자에 의해 기 제작된 광고 정보를 수집하는 광고수집부, 멀티미디어 매체를 통해 제공되는 복수의 모델 중에서 타겟 모델이 될 수 있는 복수의 모델의 정보를 수집하는 타겟 모델 수집부, 상기 수집된 광고 중에서 무작위로 추출된 광고 정보와, 상기 광고 정보에 매칭되는 타겟모델을 이용 하여 학습된 GAN 모델을 구축하는 모델구축부, 그리고 현재 시점에서 변형하고자 하는 광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광고정보와 매칭이 되는 타겟 모델을 선정한다음, 상기 광고정보 및 매칭된 타겟 모델을 구축된 GAN 모델에 입력하여 맞춤형 광고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광고에 대해서 연예인 혹은 유튜버 등 유명 인물을 대상으로 광고를 재구성함으로서, 광고 제작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수 있으며, 사용자의 시청 기록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타겟 모델을 선정하고, 선정된 타겟모델을 이용하여 광고를 재구성하므로 광고에 대한 관심도를 증가시킬 수있다.
(특허등록) 박찬일, 박연지, 오수영, 최규정, 고은수, 정유진, 최진솔, 손채봉, “발달 장애인 음성 인식 점수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제 10-2358087 호, 2022년 1월 27일
본 발명은 AI방식을 이용한 발달 장애인 음성 인식 점수 산출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달 장애인의 육성에 의해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받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샘플링 한 다음, 언어 인식 모델에 입력하여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를 이용하여 컨피던스 점수를 획득하는 텍스트 변환부, 상기 변환된 텍스트와 정답 텍스트를 기 구축된 딥러닝 모듈에 입력하여 보정 텍스트를 획득하는 보정 텍스트 추출부, 그리고 상기 획득한 보정 텍스트와 정답 텍스트를 비교하여 유사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른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 및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도록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화용 능력 향상 효과를 도모할 수 있고, 정답 문장과 보정된 문장 사이의 점수를 매김으로써 사용자의 언어 능력 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언어 구사 및 활용 능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허등록) 손채봉, 김창형, 김현수, “관심 영역과 배경프레임 개별 전송을 이용한 고화질 360도 영상 스트리밍 방법”, 제 10-1978922 호, 2019년 05월 09일
관심 영역과 배경프레임 개별 전송을 이용한 고화질 360도 영상 스트리밍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360도 비디오 콘텐츠의 네트워크 스트리밍 서비스에 있어서, HTTP 서버 또는 스트리밍 서버에서 트랜스코더를 사용하여 전체 영상에서 관심 영역과 배경 프레임 영역을 영역별로 분할하는 단계; HTTP 서버 또는 스트리밍 서버에서 트랜스코더를 사용하여 화면 분할 스트리밍 방식 중, 분할된 상기 관심 영역의 FoV 영역의 영상들만 고화질 영상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배경 프레임만 포함된 원본 영상을 중・저화질 영상으로 인코딩하여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상기 고화질 영상과 중・저화질 영상과 재생 목록을 미디어 플레이어로 동시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 및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비관심 영역의 중・저화질 영상과 관심 영역의 FoV 영역의 고화질 영상을 스트리밍 받아 각각 수신받아 버퍼링되면서 영상을 디코딩하고 타임 스탬프에 맞춰 중・저화질 영상 위에 고화질 영상을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관심영역(FoV 영역)과 비관심 영역으로 나누어 비관심영역은 저화질 영상으로 전송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이면서 관심영역은 고화질 영상을 스트리밍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고화질의 관심영역과 저화질의 비관심 영역을 동시에 스트리밍 함으로써 FoV의 변화에 따른 화질 저하 문제를 줄이면서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원할한 시청을 가능하게 한다.
(특허등록) 김창형, 권순철, 손채봉, 손광철, “자가발전에 의한 에너지 하베스팅 핀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제 10-1856007 호, 2018년 05월 02일
본 발명에 따르는 자가발전에 의한 에너지 하베스팅 핀테크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은 자가발전 사용자, 에너지 스토리지 사업자의 에너지 관리 장치 서버와 ESS(Energy Storage System), 전력망 사업자의 전력 관리 서버, 금융 VAN 사업자의 VAN 서버와 지불 결제 서버를 포함하며,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통해 자가발전 사용자가 생산한 전기 에너지를 에너지 스토리지 장치(ESS)에 축전하고, 에너지 관리 장치 서버에서 자가발전 사용자 정보와 자가발전량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전력 회사에 요청에 따라 ESS에 축전된 전기 에너지를 전력 회사로 공급하며, 에너지 관리 장치서버로부터 전력 관리 서버와 VAN 서버로 자가발전 사용자 정보와 자가발전량 정보를 제공하며, 전력 회사가 산업체나 가정의 소비자에게 자가발전량의 전력을 판매하고, 전력 공급 대금을 금융 VAN 사업자에게 지급하고 VAN 서버와 연동된 지급 결제 서버를 통해 수수료를 차감하여 각각의 자가발전 사용자들에게 판매된 자가발전량의 전력 공급량 만큼 이를 현금으로 보상하는 스마트 에너지 하베스팅 핀테크 서비스 솔류션을 제공한다.
(프로그램등록) 김현수, 김창형, 손채봉, “사용자 시야에 기반한 360도 가상현실(VR)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 C-2017-032381, 2017년 12월 08일
(프로그램등록) 남상범, 김창형, 손채봉, “사용자 시야에 기반한 360도 가상현실 동영상 전송 서버 프로그램”, C-2017-032382, 2017년 12월 08일
(프로그램등록) 최상근, 김창형, 손채봉, “사용자 시야에 기반한 360도 가상현실 동영상 화질 변환 소프트웨어”, C-2017-032383, 2017년 12월 08일
(특허등록) 손채봉, 조혜정, 이여송, “전자책 단말기의 구동방법 및 그 단말기”, 제 10-1031051 호, 2011년 04월 18일
본 발명은 가속도 센서를 구비한 전자책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전자책 컨텐츠의 화면을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센서는 사용자에 의해 부여된 상기 단말기 움직임동작의 가속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 가속도 정보로부터 소정 단위구간 동안 상기 움직임동작의 각도변이율을 산출하며, 상기 각도변이율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화면의 이전 또는 이후의 페이지넘김 이벤트를 실행하고, 그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화면의 상측, 하측, 좌측 또는 우측의 스크롤 이벤트를 실행한다.
(특허등록) 오승준, 손채봉, 명진수, 조혜정, 권윤석, “영상처리의 1/4 픽셀 보간 방법 및 그의 프로세서”, 제 10-0804451 호, 2008년 02월 12일
본 발명은 영상의 시간적 중복 데이터를 제거하기 위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1/4 픽셀 보간 방법 및 그의 프로세서에 관한 것으로, 픽셀 중 이웃하고 있는 정수 픽셀 정보를 이용하여 제1 하프 픽셀과 제1 쿼터 픽셀을 구하는 가로방향 보간 과정과 가로방향 보간 후, 가로방향 보간이 완료된 픽셀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하프 픽셀과 제2 쿼터 픽셀을 구하는 세로방향 보간 과정과 가로방향 보간과 세로방향 보간을 수행 후 생성되는 제3 하프 픽셀과 제3 쿼터 픽셀 중 가로방향에 위치하는 제3 하프 픽셀과 대각선에 위치하는 제3 하프 픽셀을 이용하여 제3 쿼터 픽셀을 구하는 대각선 세로방향 보간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간 과정은 프로세에 의해 지원되는 SIMD(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 명령어에 의해 수행된다.
이에 , 본 발명은 SIMD 명령어를 이용해 가로방향 보간과 세로방향 보간을 수행함으로써, 연산량이 줄어 데이터 처리속도가 빠른 효과가 있다.
(특허등록) 유상준, 손채봉, 명진수, 오승준, “영상처리의 정수 변환 방법 및 그의 프로세서”, 제 10-0790846 호, 2007년 12월 26일
본 발명은 영상신호 내의 공간적 중복을 줄이기 위해 2D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를 수행함에 있어 영상 및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영상처리의 정수 변환 방법 및 그의 프로세서에 관한 것으로, SIMD 환경에서 전치 과정과 버터플라이 방법을 이용해 2D DCT 정수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올려놓기(load), 저장하기(store), 옮기기(mov)와 같은 명령을 배제하여 영상 및 데이터의 처리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정수변환 방법은 행렬을 갖는 입력 데이터가 행과 열이 바뀌는 제1 전치(Transpose) 단계와 상기 제1 전치에 의해 발생된 데이터를 제1 버터플라이(Butterfly) 방법으로 1D DCT 정수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버터플라이 방법에 의해 정수변환된 데이터가 행과 열이 바꾸는 제 2 전치 단계와 상기 제2 전치에 의해 발생된 데이터를 제2 버터플라이 방법으로 2D DCT 정수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전치, 제 2 전치 단계 및 제1, 제2 버터 플라이 방법은 프로세서에서 제공되는 SIMD(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 명령어에 의해 수행된다. 아울러, 상기 정수 변환 방법을 수행하는 영상처리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